문제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A부족과 B부족은 한쪽 손의 손모양으로 손가락 셈법(지산법)을 사용하여 셈을 한다. ○ A부족의 손가락 셈법에 따르면, 손모양을 보아 손바닥이 보이면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더하고, 손등이 보이면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을 뺀다. ○ B부족의 손가락 셈법에 따르면, 손모양을 보아 엄지가 펴져 있으면 엄지를 제외하고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더하고, 엄지가 접혀 있으면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뺀다. |
<보 기>
ㄱ. 손바닥이 보이는 채로, 손가락 다섯 개가 세 번 모두 펴져 있으면, 셈의 합은 A부족이 15이고 B부족은 12일 것이다. ㄴ. B부족의 셈법에 따르면, 세 번 다 엄지만이 펴져 있는 것의 셈의 합과 세 번 다 주먹이 쥐어져 있는 것의 셈의 합은 동일하다. ㄷ. 손바닥이 보이는 채로, 첫 번째는 엄지․검지․중지만이 펴져 있고, 두 번째는 엄지가 접혀 있고 검지․중지만 펴져 있고, 세 번째는 다른 손가락은 접혀 있고 엄지만 펴져 있다. 이 경우 셈의 합은 A부족이 6이고 B부족은 3일 것이다. ㄹ. 세 번 동안 손가락이 몇 개씩 펴져 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세 번 내내 엄지는 꼭 펴져 있었다. 이를 A부족, B부족 각각의 셈법에 따라 셈을 하였을 때, 셈의 합이 똑같이 9가 나올 수 있다. |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ㄱ, ㄷ, ㄹ
ㄱ. (O)
A부족의 경우, 손바닥이 보이면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더해야 한다. 그러므로 손가락 다섯 개가 세 번 모두 펴져 있다면 세 번 모두 5가 되어 셈의 합은 15가 된다.
B부족의 경우, 엄지가 펴져 있으면 엄지를 제외하고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더해야 한다. 그러므로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 네 개가 세 번 모두 펴져 있다면 세 번 모두 4가 되어 셈의 합은 12가 된다.
따라서 A부족의 셈의 합은 15이고 B부족의 셈의 합은 12이다.
ㄴ. (O)
B부족의 셈법에 따를 경우 엄지가 펴져 있으면 엄지를 제외하고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더해야 한다. 그러므로 엄지만이 펴져 있는 경우의 셈은 0이 되며, 세 번 다 엄지만이 펴져 있다면 세 번의 셈의 합은 여전히 0이 된다.
또한, 엄지가 접혀 있으면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빼야 한다. 그러므로 주먹이 쥐어져 있는 것의 셈의 합은 0이 되며, 세 번 다 주먹이 쥐어져 있다면 여전히 세 번의 셈의 합은 여전히 0이 된다.
따라서 B부족의 셈법에 따르면, 세 번 다 엄지만이 펴져 있는 것의 셈의 합과 세 번 다 주먹이 쥐어져 있는 것의 셈의 합은 0으로 동일하다.
ㄷ. (X)
손바닥이 보이는 채로, 엄지ㆍ검지ㆍ중지만이 펴져 있는 경우, A부족은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더해야 하므로 셈의 합은 3이 된다.
B부족은 엄지가 펴져 있으면 엄지를 제외하고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더해야 하므로 셈의 합은 2가 된다.
손바닥이 보이는 채로, 엄지가 접혀 있고 검지ㆍ중지만 펴져 있는 경우, A부족은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더해야 하므로 셈의 합은 3이 된다. B부족은 엄지가 접혀 있으면 엄지를 제외하고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빼야 하므로 셈의 합은 -2가 된다.
손바닥이 보이는 채로, 다른 손가락은 접혀 있고 엄지만 펴져 있는 경우, A부족은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더해야 하므로 셈의 합은 1이 된다. B부족은 엄지가 펴져 있으면 엄지를 제외하고 펴져 있는 손가락 개수만큼 더해야 하므로 셈의 합은 0이된다.
따라서 A부족의 셈의 합은 6이고, B부족의 셈의 합은 0이다.
ㄹ. (X) (사례) 세 번 내내 엄지는 꼭 펴져 있는 경우, A부족, B부족 각각의 셈법에 따라 셈을 하였을 때, 셈의 합이 똑같이 9가 나올 수 있는지 사례를 찾는다.
손바닥이 보이는지 손등이 보이는지 여부는 알 수 없지만, 엄지가 펴져 있다는 것은 알 수 있으므로 계산이 더 쉬운 B부족을 기준으로 세 번의 셈의 합이 9가 되는 경우를 나눠본다. (엄지가 펴져 있으므로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모두 더하게 된다)
(1) 4+3+2 조합
이 경우 엄지손가락이 펴져있음을 감안할 때, A부족이 더하거나 뺄 수 있는 숫자는 5, 4, 3이 된다. 이 수들을 가지고 더하고 빼서 9를 만드는 것을 불가능하다.
(2) 4+4+1 조합
이 경우 엄지손가락이 펴져있음을 감안할 때, A부족이 더하거나 뺄 수 있는 숫자는 5, 5, 2가 된다. 이 수들을 가지고 더하고 빼서 9를 만드는 것을 불가능하다.
(3) 3+3+3 조합
이 경우 엄지손가락이 펴져있음을 감안할 때, A부족이 더하거나 뺄 수 있는 숫자는 4, 4, 4가 된다. 이 수들을 가지고 더하고 빼서 9를 만드는 것을 불가능하다.
따라서 B부족의 셈법에 따라 셈을 했을 때 셈의 합이 9가 나오는 경우에는 A부족의 셈법에 따라 셈을 했을 때 합이 9가 나오는 경우가 없으므로 똑같이 9가 나올 수 없다.
'5급 공채 (행정고시) > 2019년 가책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행(가)-13] 2019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13번 (0) | 2021.10.19 |
---|---|
[19행(가)-12] 2019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12번 (0) | 2021.10.19 |
[19행(가)-11해] 2019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11번 해설 (0) | 2021.10.19 |
[19행(가)-11] 2019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11번 (0) | 2021.10.19 |
[19행(가)-10] 2019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10번 (0) | 2021.10.19 |
[19행(가)-9해] 2019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9번 해설 (0) | 2021.10.19 |
[19행(가)-9] 2019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9번 (0) | 2021.10.19 |
[19행(가)-7해] 2019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7번 해설 (0) | 2021.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