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급·7급 민간경력자/2015년 인책형

[15민(인)-1] 2015년 5급/7급 민간경력자(민경채) PSAT 상황판단 인책형 1번

by Topgemstone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옳은 것은?

 

  1896년 「독립신문」 창간을 계기로 여러 가지의 애국가 가사가 신문에 게재되기 시작했는데, 어떤 곡조에 따라 이 가사들을 노래로 불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대한제국이 서구식 군악대를 조직해 1902 대한제국 애국가라는 이름의 국가(國歌)를 만들어 나라의 주요 행사에 사용했다는 기록은 남아 있다. 오늘날 우리가 부르는 애국가의 노랫말은 외세의 침략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해 있던 1907년을 전후하여 조국애와 충성심을 북돋우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1935년 해외에서 활동 중이던 안익태는 오늘날 우리가 부르고 있는 국가를 작곡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 곡을 애국가로 채택해 사용했으나 이는 해외에서만 퍼져 나갔을 뿐, 국내에서는 광복 이후 정부수립 무렵까지 애국가 노랫말을 스코틀랜드 민요에 맞춰 부르고 있었다. 그러다가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현재의 노랫말과 함께 안익태가 작곡한 곡조의 애국가가 정부의 공식 행사에 사용되고 각급 학교 교과서에도 실리면서 전국적으로 애창되기 시작하였다.
  애국가가 국가로 공식화되면서 1950년대에는 대한뉴스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국기게양 및 애국가 제창 시의 예의에 관한 지시(1966) 등에 의해 점차 국가의례의 하나로 간주되었다.
  1970년대 초에는 공연장에서 본공연 전에 애국가가 상영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80년대 중반까지 주요 방송국에서 국기강하식에 맞춰 애국가를 방송하였다. 주요 방송국의 국기강하식 방송, 극장에서의 애국가 상영 등은 1980년대 후반 중지되었으며 음악회와 같은 공연 시 애국가 연주도 이때 자율화되었다.
  오늘날 주요 행사 등에서 애국가를 제창하는 경우에는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4절까지 제창하여야 한다. 애국가는 모두 함께 부르는 경우에는 전주곡을 연주한다. 다만, 약식 절차로 국민의례를 행할 때 애국가를 부르지 않고 연주만 하는 의전행사(외국에서 하는 경우 포함)나 시상식공연 등에서는 전주곡을 연주해서는 안 된다.

 1940년에 해외에서는 안익태가 만든 애국가 곡조를 들을 수 없었다.

 1990년대 초반에는 국기강하식 방송과 극장에서의 애국가 상영이 의무화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부르는 애국가의 노랫말은 1896 󰡔독립신문󰡕 게재되지 않았다.

 시상식에서 애국가를 부르지 않고 연주만 하는 경우에는 전주곡을 연주할 수 있다.

 안익태가 애국가 곡조를 작곡한 해로부터 대한민국 정부 공식 행사에 사용될 때까지 채 10년이 걸리지 않았다.

 

이 문제의 해설을 알고 싶다면?

↓ ↓ ↓ ↓ ↓

[5급·7급 민간경력자/2015년 인책형] - [15민(인)-1해] 2015년 5급/7급 민간경력자(민경채) PSAT 상황판단 인책형 1번 해설

 

[15민(인)-1해] 2015년 5급/7급 민간경력자(민경채) PSAT 상황판단 인책형 1번 해설

문제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옳은 것은? 1896년 「독립신문」 창간을 계기로 여러 가지의 애국가 가사가 신문에 게재되기 시작했는데, 어떤 곡조에 따라 이 가사들을 노래로 불렀는지는 명

topgemstone.c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