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행(A)-21해] 2014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A책형 21번 해설
문제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에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부는 2013년 11월 김치 담그는 비용을 지수화한 ‘김치지수’를 발표했다. 김치지수는 개별품목 가격이 아닌 김치재료를 포괄하는 비용을 지수화한 것이다. ○○부는 김치재료 13개 품목의 소매가격을 바탕으로 기준가격을 산출했다. 4인 가족 기준 13개 품목은 배추 20포기(60kg), 무 10개(18kg), 고춧가루 1.86kg, 깐마늘 1.2kg, 대파 2kg, 쪽파 2.4kg, 흙생강 120g, 미나리 2kg, 갓 2.6kg, 굴 2kg, 멸치액젓 1.2kg, 새우젓 1kg, 굵은소금 8kg이다. ○○부는 2008년부터 2012년 중 최고, 최저를 제외한 3개년의 평균비용을 김치지수 100으로 간주했다. 이를 바탕으로 산출한 이번 ..
[14행(A)-21] 2014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A책형 21번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에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부는 2013년 11월 김치 담그는 비용을 지수화한 ‘김치지수’를 발표했다. 김치지수는 개별품목 가격이 아닌 김치재료를 포괄하는 비용을 지수화한 것이다. ○○부는 김치재료 13개 품목의 소매가격을 바탕으로 기준가격을 산출했다. 4인 가족 기준 13개 품목은 배추 20포기(60kg), 무 10개(18kg), 고춧가루 1.86kg, 깐마늘 1.2kg, 대파 2kg, 쪽파 2.4kg, 흙생강 120g, 미나리 2kg, 갓 2.6kg, 굴 2kg, 멸치액젓 1.2kg, 새우젓 1kg, 굵은소금 8kg이다. ○○부는 2008년부터 2012년 중 최고, 최저를 제외한 3개년의 평균비용을 김치지수 100으로 간주했다. 이를 바탕으로 산출한 이번 달의 ..
[14행(A)-1920해] 2014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A책형 19-20번 해설
※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조선에서는 원나라 곽수경의 수시력(授時曆)을 그대로 계승한 명의 대통력(大統曆)을 써서 하루를 100각(刻) 또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의 12진(辰)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12진은 전반부가 시작되는 시각을 초(初)로 하고 후반부가 시작되는 시각을 정(正)으로 하였다. 그 후 1653년에는 서양역법을 토대로 한 중국의 시헌력(時憲曆)을 채택하여 하루를 96각 또는 12진으로 하였다. 그런데 밤은 12진법과 중국 한대(漢代) 이래 쓰인 5경제(五更制)를 병행하여 썼다. 밤시간은 일몰 후 1등성인 별들이 보이기 시작할 때까지의 혼각(昏刻)과 별이 보이지 않기 시작할 때부터..
[14행(A)-1920] 2014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A책형 19-20번
※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조선에서는 원나라 곽수경의 수시력(授時曆)을 그대로 계승한 명의 대통력(大統曆)을 써서 하루를 100각(刻) 또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의 12진(辰)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12진은 전반부가 시작되는 시각을 초(初)로 하고 후반부가 시작되는 시각을 정(正)으로 하였다. 그 후 1653년에는 서양역법을 토대로 한 중국의 시헌력(時憲曆)을 채택하여 하루를 96각 또는 12진으로 하였다. 그런데 밤은 12진법과 중국 한대(漢代) 이래 쓰인 5경제(五更制)를 병행하여 썼다. 밤시간은 일몰 후 1등성인 별들이 보이기 시작할 때까지의 혼각(昏刻)과 별이 보이지 않기 시작할 때부터..
[14행(A)-15해] 2014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A책형 15번 해설
문제 다음 글과 을 근거로 판단할 때, 가장 많은 품삯을 받은 일꾼은? (단, 1전은 10푼이다) 「화성성역의궤」는 정조시대 수원 화성(華城)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 의식 등을 수록한 책이다. 이 책에는 화성 축조에 참여한 일꾼의 이름과 직업, 품삯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 일꾼 다섯 명의 이름은 좀쇠, 작은놈, 어인놈, 상득, 정월쇠이다. ○ 다섯 일꾼 중 김씨가 2명, 이씨가 1명, 박씨가 1명, 윤씨가 1명이다. ○ 이들의 직업은 각각 목수, 단청공, 벽돌공, 대장장이, 미장공이다. ○ 일당으로 목수와 미장공은 4전 2푼을 받고, 단청공과 벽돌공, 대장장이는 2전 5푼을 받는다. ○ 윤씨는 4일, 박씨는 6일, 김씨 두 명은 각각 4일, 이씨는 3일 동안 동원되었다. 동원되었지만 일을 하..
[14행(A)-15] 2014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A책형 15번
다음 글과 을 근거로 판단할 때, 가장 많은 품삯을 받은 일꾼은? (단, 1전은 10푼이다) 「화성성역의궤」는 정조시대 수원 화성(華城)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 의식 등을 수록한 책이다. 이 책에는 화성 축조에 참여한 일꾼의 이름과 직업, 품삯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 일꾼 다섯 명의 이름은 좀쇠, 작은놈, 어인놈, 상득, 정월쇠이다. ○ 다섯 일꾼 중 김씨가 2명, 이씨가 1명, 박씨가 1명, 윤씨가 1명이다. ○ 이들의 직업은 각각 목수, 단청공, 벽돌공, 대장장이, 미장공이다. ○ 일당으로 목수와 미장공은 4전 2푼을 받고, 단청공과 벽돌공, 대장장이는 2전 5푼을 받는다. ○ 윤씨는 4일, 박씨는 6일, 김씨 두 명은 각각 4일, 이씨는 3일 동안 동원되었다. 동원되었지만 일을 하지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