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급 공채 (행정고시)714 [16행(4)-4] 2016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4책형 4번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옳은 것은? 독일의 통계학자 A는 가계지출을 음식비, 피복비, 주거비, 광열비, 문화비(교육비, 공과금, 보건비, 기타 잡비)의 5개 항목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그 결과 소득의 증가에 따라 총 가계지출 중 음식비 지출 비중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피복비 지출은 소득의 증감에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주거비와 광열비에 대한 지출 비중은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고, 문화비 지출 비중은 소득 증가에 따라 급속하게 증가한다는 것도 알아냈다. 이러한 사실을 모두 아울러 ‘A의 법칙’이라고 한다. 특히 이 가운데서 가계지출 중 음식비 지출 비중만을 따로 떼어 내어 ‘A계수’라고 한다. A계수는 총 가계지출에서 차지하는 음식비의 비중을 백분율로 표.. [16행(4)-3해] 2016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4책형 3번 해설 문제 다음 글과 을 근거로 판단할 때, 에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정약용은 목민심서에서 흉작에 대비하여 군현 차원에서 수령이 취해야 할 대책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는 효과적인 대책으로 권분(勸分)을 꼽았는데, 권분이란 군현에서 어느 정도 경제력을 갖춘 사람들에게 곡식을 내놓도록 권하는 제도였다. 권분의 대상자는 요호(饒戶)라고 불렀다. 요호는 크게 3등(等)으로 구분되는데, 각 등은 9급(級)으로 나누어졌다. 상등 요호는 봄에 무상으로 곡물을 내놓는 진희(賑餼), 중등 요호는 봄에 곡물을 빌려주었다가 가을에 상환받는 진대(賑貸), 하등 요호는 봄에 곡물을 시가의 1/4로 판매하는 진조(賑糶)를 권분으로 행하였다. 정약용이 하등 요호 8, 9급까지 권분의 대상에 포함시킨 것은, 현실적으로 상등 요.. [16행(4)-3] 2016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4책형 3번 다음 글과 을 근거로 판단할 때, 에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정약용은 목민심서에서 흉작에 대비하여 군현 차원에서 수령이 취해야 할 대책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는 효과적인 대책으로 권분(勸分)을 꼽았는데, 권분이란 군현에서 어느 정도 경제력을 갖춘 사람들에게 곡식을 내놓도록 권하는 제도였다. 권분의 대상자는 요호(饒戶)라고 불렀다. 요호는 크게 3등(等)으로 구분되는데, 각 등은 9급(級)으로 나누어졌다. 상등 요호는 봄에 무상으로 곡물을 내놓는 진희(賑餼), 중등 요호는 봄에 곡물을 빌려주었다가 가을에 상환받는 진대(賑貸), 하등 요호는 봄에 곡물을 시가의 1/4로 판매하는 진조(賑糶)를 권분으로 행하였다. 정약용이 하등 요호 8, 9급까지 권분의 대상에 포함시킨 것은, 현실적으로 상등 요호와 .. [17행(가)-3940해] 2017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39-40번 해설 문제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39~문 40] 측우기는 1440년을 전후하여 발명되어 1442년(세종 24년)부터 1907년 일제의 조선통감부에 의해 근대적 기상관측이 시작될 때까지 우량(雨量) 관측기구로 사용되었다. 관측된 우량은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기록되었다. 우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보고하는 제도는 측우기 도입 이전에도 있었는데, 비가 온 뒤 땅에 비가 스민 깊이를 측정하여 이를 조정에 보고하는 방식이었다. 세종실록(世宗實錄)의 기록에 의하면, 왕세자 이향(李珦, 훗날의 문종 임금)은 우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그릇에 빗물을 받아 그 양을 측정하는 방식을 연구하였다. 빗물이 땅에 스민 깊이는 토양의 습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기존 방법으로는 빗물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 [17행(가)-3940] 2017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39-40번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39~문 40] 측우기는 1440년을 전후하여 발명되어 1442년(세종 24년)부터 1907년 일제의 조선통감부에 의해 근대적 기상관측이 시작될 때까지 우량(雨量) 관측기구로 사용되었다. 관측된 우량은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기록되었다. 우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보고하는 제도는 측우기 도입 이전에도 있었는데, 비가 온 뒤 땅에 비가 스민 깊이를 측정하여 이를 조정에 보고하는 방식이었다. 세종실록(世宗實錄)의 기록에 의하면, 왕세자 이향(李珦, 훗날의 문종 임금)은 우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그릇에 빗물을 받아 그 양을 측정하는 방식을 연구하였다. 빗물이 땅에 스민 깊이는 토양의 습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기존 방법으로는 빗물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 [17행(가)-38해] 2017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38번 해설 문제 다음 글과 를 근거로 판단할 때, 비긴 카드 게임의 총 수는? 다섯 명의 선수(甲~戊)가 카드 게임 대회에 참가했다. 각 선수는 대회에 참가한 다른 모든 선수들과 일대일로 한 번씩 카드 게임을 했다. 각 게임의 승자는 점수 2점을 받고, 비긴 선수는 점수 1점을 받고, 패자는 점수를 받지 못한다. 이 카드 게임 대회에서 각 선수가 얻은 점수의 총합이 큰 순으로 매긴 순위는 甲, 乙, 丙, 丁, 戊 순이다. (단, 동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乙: 난 한 게임도 안 진 유일한 사람이야. 戊: 난 한 게임도 못 이긴 유일한 사람이야. ① 2번 ② 3번 ③ 4번 ④ 5번 ⑤ 6번 해설 ▷ 정답 ③ 5명의 선수가 일대일로 한 번씩 게임을 하였다. 한 명의 선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승점은 나머지 4명과 게임을.. [17행(가)-38] 2017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38번 다음 글과 를 근거로 판단할 때, 비긴 카드 게임의 총 수는? 다섯 명의 선수(甲~戊)가 카드 게임 대회에 참가했다. 각 선수는 대회에 참가한 다른 모든 선수들과 일대일로 한 번씩 카드 게임을 했다. 각 게임의 승자는 점수 2점을 받고, 비긴 선수는 점수 1점을 받고, 패자는 점수를 받지 못한다. 이 카드 게임 대회에서 각 선수가 얻은 점수의 총합이 큰 순으로 매긴 순위는 甲, 乙, 丙, 丁, 戊 순이다. (단, 동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乙: 난 한 게임도 안 진 유일한 사람이야. 戊: 난 한 게임도 못 이긴 유일한 사람이야. ① 2번 ② 3번 ③ 4번 ④ 5번 ⑤ 6번 이 문제의 해설을 알고 싶다면? ↓ ↓ ↓ ↓ ↓ [5급 공채 (행정고시)/2017년 가책형] - [17행(가)-38해] 2017년 5.. [17행(가)-37해] 2017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37번 해설 문제 다음 과 을 근거로 판단할 때 옳은 것은? ○ 공연장의 좌석은 총 22개이며 좌측 6개석, 중앙 10개석, 우측 6개석으로 구성된다. ○ 입장은 공연일 정오에 마감되며, 해당 시점까지 공연장에 도착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관람 위치를 배정한다. ○ 좌석배정은 선착순으로 이루어지며, 가장 먼저 온 관람객부터 무대에 가까운 앞줄의 맨 좌측 좌석부터 맨 우측 좌석까지, 그 후 뒷줄의 맨 우측 좌석부터 맨 좌측 좌석까지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 관람객이 22명을 초과할 경우, 초과인원 중 먼저 도착한 절반은 좌측 계단에, 나머지 절반은 우측 계단에 순서대로 앉힌다. ○ 공연장에 가장 먼저 온 관람객은 오전 2:10에 도착하였다. ○ 오전 4:30까지는 20분 간격으로 관람객이 공연장에 도착하였다. ○ 오전 4.. [17행(가)-37] 2017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37번 다음 과 을 근거로 판단할 때 옳은 것은? ○ 공연장의 좌석은 총 22개이며 좌측 6개석, 중앙 10개석, 우측 6개석으로 구성된다. ○ 입장은 공연일 정오에 마감되며, 해당 시점까지 공연장에 도착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관람 위치를 배정한다. ○ 좌석배정은 선착순으로 이루어지며, 가장 먼저 온 관람객부터 무대에 가까운 앞줄의 맨 좌측 좌석부터 맨 우측 좌석까지, 그 후 뒷줄의 맨 우측 좌석부터 맨 좌측 좌석까지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 관람객이 22명을 초과할 경우, 초과인원 중 먼저 도착한 절반은 좌측 계단에, 나머지 절반은 우측 계단에 순서대로 앉힌다. ○ 공연장에 가장 먼저 온 관람객은 오전 2:10에 도착하였다. ○ 오전 4:30까지는 20분 간격으로 관람객이 공연장에 도착하였다. ○ 오전 4:30.. [17행(가)-36해] 2017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36번 해설 문제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2017년 3월 인사 파견에서 선발될 직원만을 모두 고르면? ○ △△도청에서는 소속 공무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정례적으로 인사 파견을 실시하고 있다. ○ 인사 파견은 지원자 중 3명을 선발하여 1년 간 이루어지고 파견 기간은 변경되지 않는다. ○ 선발 조건은 다음과 같다. - 과장을 선발하는 경우 동일 부서에 근무하는 직원을 1명 이상 함께 선발한다. - 동일 부서에 근무하는 2명 이상의 팀장을 선발할 수 없다. - 과학기술과 직원을 1명 이상 선발한다. - 근무 평정이 70점 이상인 직원만을 선발한다. - 어학 능력이 ‘하’인 직원을 선발한다면 어학 능력이 ‘상’인 직원도 선발한다. - 직전 인사 파견 기간이 종료된 이후 2년 이상 경과하지 않은 직원을 선발할 수 ..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7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