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행(가)-36] 2021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36번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규칙 위반에 해당하는 것은? 드론을 비행하려면 다음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 ○: 필요, ×: 불필요, △: 공항 또는 비행장 중심 반경 5km 이내에서는 필요 ① 비사업자인 甲은 이륙중량 20kg, 자체중량 10kg인 드론을 공항 중심으로부터 10km 떨어진 지역에서 비행승인 없이 비행하였다. ② 비사업자인 乙은 이륙중량 30kg, 자체중량 10kg인 드론을 기체검사, 비행승인을 받아 비행하였다. ③ 사업자인 丙은 이륙중량 25kg, 자체중량 12kg인 드론을 사업등록, 장치신고를 하고 비행승인 없이 비행장 중심으로부터 4km 떨어진 지역에서 비행하였다. ④ 사업자인 丁은 이륙중량 30kg, 자체중량 20kg인 드론을 기체검사, 사업등록, 장치신고, 조종자격을 갖추고 비..
[21행(가)-30해] 2021년 5급 공채 (행정고시) PSAT 상황판단 가책형 30번 해설
문제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에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아르키메데스는 대장장이가 만든 왕관이 순금인지 알아내기 위해 질량 1kg인 왕관을 물이 가득 찬 용기에 완전히 잠기도록 넣었을 때 넘친 물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이 왕관은 금, 은, 구리, 철 중 1개 이상의 금속으로 만들어졌고, 밀도는 각각 20, 10, 9, 8g/cm3이다. 밀도와 질량, 부피 사이의 관계는 아래 식과 같다. 밀도(g/cm3)=질량(g) / 부피(cm3) ※ 각 금속의 밀도, 질량, 부피 변화나 금속 간의 반응은 없고, 둘 이상의 금속을 합해 만든 왕관의 질량(또는 부피)은 각 금속의 질량(또는 부피)의 합과 같다. ㄱ. 대장장이가 왕관을 금으로만 만들었다면, 넘친 물의 부피는 50cm3이다. ㄴ. 넘친 물의 부피가..